전체 글(15)
-
Controller 먼저? Domain 먼저?
백엔드 개발을 하다 보면 쉽게 화두 될 수 있는 ‘어떤 것부터 개발해?’에 대해 경험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프론트와 백 사이의 체계적인 업무를 구성해 보는 것이 처음이라 ‘원래’ 어떻게들 개발하는지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경험하고 주도하고자 하는 방법이 정답은 아님을, 하나의 경험 공유일 뿐임을 당부한다. 1. 너와 나의 연결고리개발해야 할 내용이 분명해지면 일단 같이 개발할 동료와 이해한 바를 확인하고 싱크 한다. 서로 알고 있는 개념 하나씩 도메인 이름을 정하고, 네모에 그려 넣는다. 그리면서 연관된 다른 개념의 도메인과 연결한다. 이때부터 각자 어떻게 이해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 “Member는 여러 개의 Profile을 가질 수 있으니까..” 🐹: “엇, 하나의 Profile만 가질 ..
2024.02.10 -
테스트 코드 shouldBe JUnit? Kotest?
Kotlin + Spring Boot 조합으로 새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Jason(작은 재성)님이 이 소식을 듣고 Kotest를 추천해 주셔서, Toby님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하기 시작했다. Kotest에는 여러가지 테스팅 스타일이 있는데, 중첩이 가능한 context와 명시적으로 기대하는 바를 서술할 수 있는 expect가 있는 ExpectSpec을 선택하여 사용했다. Kotest의 Original 이기도 하고.😌 이 외에 다른 Kotest의 Testing Styles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kotest.io/docs/framework/testing-styles.html 예시로 Member를 저장하는 테스트 코드가 있다고 치자. 여기서 save()라는 하나의 테스트 단..
2024.01.13 -
흥청망청 25살
관계에 있어서도 나에게 집중하는 시간도 흥청망청 보냈다. 2021년 졸업 후 빠른 98년생인 나는 친구들을 따라 25살로 어엿한 사회의 한 개발자로 첫 직장 생활을 보냈다. 2022년 2번째 직장을 다닐 때 사회에는 빠른 년생 개념은 없다고 해서, 다시 25살로 꽤 괜찮은 2년 차를 맞이했다. 2023년 만 나이 제도가 실행되면서 또 한 번 25살로 3년차가 되었다. 시간이 멈춘 것이다. 원체 기회가 왔을 때 잡을 수 있는 사람이 되어 있자는 주의여서, 멈춘 시간과 달리 스스로를 채찍질하며 달리도록 다그쳤다. 주변 사람들을 나서서 챙기기보다는 내가 판단하는 가치에 부합하는 관계에 노력했다. 예쁘게 말하고, 본인을 아끼고, 배려도 하는 그런 사람들을 자주 보려고 했다. 혼자 일때의 짐들을 정리하고 분당 본..
2024.01.01 -
Toby님과 함께 더 나은 개발자가 되기 2 (feat. Toby 이일민님)
🔄 1편 다시 보기: Toby님과 함께 더 나은 개발자가 되기 (feat. Toby 이일민님) 우모(Umoh) 우리 회사 splab.은 센드타임(Sendtime)이라는 스케줄링 툴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네트워킹/비즈니스 매칭 등 모든 사람과 사람의 만남에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 우모(Umoh)를 본격적으로 서비스하기 시작했다. 감사하게도 토비님께서 '네트워킹'에 대한 생각을 적어주신 글에서 우모(Umoh)를 소개해주셨다. 🔗링크 우모(Umoh) 필요성이 잘 담긴 글로 한 번씩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토비님께서 나와 우리 팀의 서비스에 종종 도움을 주신지 2주가 되었다. 이번 2주간 새 네트워크와 CI/CD 환경도 구축하고, TDD로 신규 api도 개발했다. 그 과정에서 무슨 복인지 매번 바쁘실텐데도 꼼꼼..
2023.10.22 -
TDD - Test Scenario, Test Case, Test Code
그놈의 TDD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 TDD는 과정이 중요하다 처음부터 완벽하게 핸들링하여 개발할 수는 없다. 그래서 대부분 첫 Test Run에서 Test Fail 인 상황이 발생한다. 이를 Test Success로 옮겨가는 식으로 개발을 한다. 이 과정에서 활용되는 것이 Test Case들이며, Test Case들의 묶음이 Test Scenario이다. 이 과정을 볼링 게임으로 익혀보자. Case1. 전부 또랑행 (score 0) 10번의 프레임 시도에서 모두 또랑에 공이 빠진다면, 모든 점수는 0이다. 이때, 점수는 0이 반환되면 된다. 이 시나리오를 토대로 아래와 같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 @Test fun `gutter game`() { val game = BowlingGame() repe..
2023.09.24 -
고려대학교 해커톤 2023 HacKUthon 심사 후기
지난 20~21일 고려대학교 해커톤의 멘토 겸 심사위원으로 참석했다. 참석하게 된 계기는 해커톤에서 우리 🔗Space 서비스를 사용해 주었기 때문이다. Space는 재직 중인 Splab의 핵심 서비스 중 하나이다. 🔗Sendtime 스케줄링 서비스를 제공하던 중, 스케줄링을 하는 이유가 사람과 사람 간의 '만남' 때문이라는 것을 화두로 던지기 시작했다. 더군다나 코로나19가 잠잠해진 지금, 각종 네트워킹/이벤트/비즈니스 매칭/밋업 등에 참여자 간 커뮤니케이션이 분명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 17일 오프라인 팀빌딩 전, 미리 각자의 포지션과 소개를 적은 카드들로 포지션별 비율을 알 수 있어 좋았다고 한다. Space 카드를 통해 사전에 관심사와 어필을 통해 효과적인 팀빌딩이 이뤄졌다. 아, 참고로 나는 해커..
2023.09.03